SAMILi.com

[정부부처 자료] 기타

제목 박근혜정부 2013년 경제정책방향
기관명 기타 작성일자 2013 . 03 . 28
첨부파일

(출처 : 관계부처 합동)
경제상황 평가
1. 민생경제 여건
(경기둔화 장기화) 7분기 연속 전기대비 0%대의 저성장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회복이 지연
▣ 수출은 지난해 4/4분기 이후 다소 회복되고 있으나, 올해 들어 개선세가 주춤
* 통관 수출(전년동기비, %): (‘12.3/4)△5.7 (4/4)△0.3 (’13.1/4e)0내외
o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지속에 따른 글로벌 수요의 약한 회복, 엔화약세 등으로 수출의 대폭 개선은 기대하기 어려움
* 美 채무한도 조정유예 만료(5.19일), 이태리 정국 불안과 위기 전염 가능성, 美ㆍ日 신용등급 하락 우려 등
▣ 소비ㆍ투자 등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단기간에 크게 개선되기도 어려운 상황
o 민간소비는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 주택가격 하락 등으로 증가세 제약
* 소매판매(전기비, %): (‘12.1/4)1.0 (2/4)0.3 (3/4)1.2 (4/4)0.4 (’13.1월)△2.0
o 설비투자는 대내외 불확실성 지속, 수요부진 등으로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올해 들어서도 부진
* 설비투자(전기비, %): (12.2/4)△5.0 (3/4)△6.8 (4/4)0.8 (‘13.1월)△6.5
o 경기동행ㆍ선행지수가 전반적으로 횡보하는 가운데, 소비ㆍ기업심리 등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는 상황
▣ 주택시장 부진이 지속되면서 건설업계를 비롯한 연관산업 침체로 서민경제에도 부담
o 수도권 주택매매가격은 고점 대비 5.2% 하락했으며 ‘12년 주택매매거래량은 ’06년 통계작성 이후 최저수준을 기록
* 주택매매거래량(만건): (‘10)80.0 (’11)98.1 (‘12)73.5 (12.12월)10.8 (’13.1월)2.7 (2월)4.7
o 건설투자도 주택경기 부진 등으로 ‘10년 이후 감소세를 지속
* 건설투자(%): (‘09)3.4 (’10)△3.7 (‘11)△4.7 (’12)△2.2

(서민생활 어려움) 서민층의 가계소득 증가가 정체되고 반듯한 일자리도 찾기 어려우며, 생계비 부담이 가중
▣ 중산층 비중이 하락하고 소득분배도 뚜렷하게 개선되지 못하는 상황
* 중산층 비중(중위소득 50~150%, %): (‘06)64.6 (’08)63.1 (‘10)64.2 (’11)64.0
* 지니계수(%): (‘06)0.306 (’08)0.314 (’10)0.310 (‘11)0.311
▣ 저소득층의 경우 적자가구가 많고 가계부채 부담이 높아 빈곤의 함정(poverty trap)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가능성
▣ 고용의 증가세도 둔화되고 있으며 고용의 질도 취약
o 취업자 증가세도 경기둔화가 장기화 되면서 청년층,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
*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12.10)40 (11)35 (12)28 (’13.1)32 (2)20
o 자영업ㆍ비정규직 비중이 높고 도소매, 음식ㆍ숙박 등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은 부문 중심으로 취업자가 증가
* 자영업자/비정규직 비중(%, ‘11): (한국) 28.2/34.2 (OECD평균) 16.1/12.0
* 취업자 증감(만명, ‘12): (도소매)5.1 (음식숙박)5.3 (운수보관)4.8 (제조업)1.4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서민생활이 어려운 가운데, 농축수산물 등 서민생활 밀접 품목의 가격도 크게 상승하여 생계비 부담이 가중
o 금년들어서도 소비자물가지표는 1%대이나, 신선식품 등 장바구니 물가는 여전히 높은 상승세
* 소비자물가/신선식품물가(전년동월비, %): (‘13.1)1.5/9.3 (2)1.4/7.4

(리스크 요인 잠재) 가계부채 부실화, 부동산 시장 침체, 자본유출입 변동성 확대 등 위험요인 잠재
▣ 가계부채 증가세는 둔화되었으나, 연체율이 상승하는 등 리스크가 조금씩 증가하는 모습
* 가계부채 증가율(전년말대비, %): (‘08)8.7 (’09)7.3 (‘10)8.7 (’11)8.1 (‘12)5.2
* 은행 가계대출 연체율(%): (‘10말)0.61 (’11말)0.67 (’12말)0.81
▣ 주택시장은 중장기 수요둔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국지적 불안요인 등 하방위험이 상존
▣ 선진국 양적완화에 따른 풍부한 글로벌 유동성이 급격한 자본유출입 변동성을 초래할 우려
* 외국인 주식순매수(조원): ('12.11)△0.6 (12)3.9 (‘13.1)△1.9 (2)1.5 (3.1~27)△2.1
* 외국인 채권순매수(조원): ('12.11)3.4 (12)6.0 (‘13.1)0.1 (2)6.1 (3.1~27)3.8


2. 재정 여건
【지출 여건】
▣ 장기간 경기둔화에 따른 재정의 경기대응 강화 필요성이 증가
o 일자리 창출, 취약계층ㆍ중소기업 지원 등 지출소요 증가
▣ 향후 5년간 재정에서 국정과제 달성 지원과 복지수요 증가에 대응이 필요
* 공약 이행 등을 위해 ’13~‘17년간 135조원 이상의 지출 소요 예상
【세입 여건】
▣ 국세수입, 세외수입 등 세입여건 재점검 결과 상당 수준의 세입차질 예상
o (국세수입) 정부 예산안 제출(’12.9월) 당시 예상보다 경기가 크게 악화되면서 6조원 이상의 세입 감소요인 발생
* ‘12년 성장률 : (‘13예산 정부안 편성전제) 3.3% → (잠정추계) 2.0%
* ‘13년 성장률 : (‘13예산 정부안 편성전제) 4.0% → (전망) 2%대
o (세외수입) 주식매각 관련 선행절차 지연 등으로 차질이 예상
* 공기업지분매각(’13년 예산, 조원): (산은) 2.6, (기은) 5.1
▣ 세계잉여금(0.3조원) 등 세입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가용재원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
※ 지출ㆍ세입여건을 감안할 때 향후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 가능성이 있으며 재정건전성 관리에도 부담 예상


3. 2013년 경제전망
1. (고 용) 저성장 장기화에 따른 고용둔화로 취업자는 당초 전망(32만명) 보다 낮은 연간 25만명 증가
o 고용률은 15세 이상 기준 59.4%, 15~64세 기준 64.6% 예상
2. (성 장) 대내외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당초 전망(3.0%)보다 낮은 2.3% 성장
3. (물 가) 수요압력이 크지 않고, 무상보육 확대ㆍ기저효과 등 상ㆍ하방 요인 고려시 당초 전망(2.7%)보다 낮은 2.3% 상승
o 다만, 기상악화, 국제유가ㆍ곡물가격 상승 등에 따라 농축수산물, 석유류ㆍ가공식품 등 체감물가 상승률은 높을 것으로 예상
4. (경상수지) 당초 전망보다 다소 축소된 290억불 흑자 예상
☞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ㆍ민생안정을 위한 정책대응이 시급


2013년 경제정책 기본방향
⊙ 2013년 경제정책은 민생경제 회복과 창조경제를 구현하여 「국민행복, 희망의 새시대」의 국정비전과 국정과제를 뒷받침
- (일자리 창출) 적극적 거시정책 등을 통해 경제회복 기반을 강화하고 고용친화적 제도개선ㆍ창조경제 기반 구축
- (민생안정) 물가 안정, 서민금융ㆍ주거ㆍ교육비 부담 완화, 맞춤형 복지 구현을 통해 민생안정 기틀 마련
- (경제민주화) 공정하고 투명한 시장경제 질서와 경제적 약자 보호시스템 확립을 통한 경제민주화 실현
- (리스크 관리 강화) 대내외 여건 변화에 경제가 흔들리지 않도록 위기대응 체계와 위험요인별 관리를 더욱 강화
⊙ 재정기반을 확충하여 국정과제 이행을 뒷받침하고 협업과 소통을 통한 정책 실행체계 마련


2013년 주요 정책과제
1. 일자리 창출
⊙ 거시정책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내수ㆍ수출이 함께 성장하는 경제여건 조성
⊙ 성장과 일자리 창출이 선순환하는 고용 중심 경제시스템 구축
⊙ 창의성과 과학ㆍIT기술에 기반한 창조경제가 중소ㆍ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산업 전반에 융합ㆍ확산될 수 있는 인프라 조성
적극적 거시정책 운영
1. (재정정책) 상반기 재정 조기집행 목표(60%)를 초과 달성하고 추경 등을 통해 민생안정 지원
o 경기침체에 따른 세입보전, 경기회복ㆍ민생안정 등을 위한 추경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 추진 (4월)
- 경기 활성화를 통해 중장기적 재정건전성 회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내실있게 편성
o SOC 분야 등을 중심으로 공공기관 투자규모를 1조원 수준 확대
2. (금융정책)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수출ㆍ중소기업 등에 대해 한은의 총액한도대출 지원을 강화하고 정책자금 지원 확대
* 中企 정책금융은 상반기에 조기집행(60%)하고 추가 확대 검토
o 금융취약계층에 대한 서민금융 지원을 강화하고 가계부채 부담 완화를 위해 국민행복기금 설립(3.29일)ㆍ하우스푸어 지원대책 마련
* 미소금융, 햇살론, 새희망홀씨, 바꿔드림론 등 지원 확대(3.5→4.0조원)
3. (환율정책) 주요국 양적완화 등에 따른 외환시장 변동에 대응 하여 시장 쏠림에 의한 환율 급등락 완화 등 시장안정노력 지속
o 선진국 통화정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G20 등 다양한 협의채널을 통해 국제공조 강화

내수ㆍ수출 쌍끌이 경제 여건조성
1. (내수 활성화) 투자ㆍ소비 활력을 통해 성장의 지속 가능성 제고
o 민ㆍ관이 함께 투자회복을 위한 ‘투자활성화 방안’ 마련(5월)
* 입지ㆍ인력 등에 대한 규제완화, 중소기업의 중고설비교체 자금지원 등
o 외국인투자 활성화를 위해 고용친화적 인센티브 개편, 투자이민제 확대, 외투법인(외인지분 50% 이상) 일감몰아주기 과세제외 등 제도개선 방안 마련(5월)
o 中企 근로자 지원, 최저임금 수준 합리화 등 서민 소득기반 확충
2. (수출지원 확대) 중소기업ㆍ서비스업 중심의 수출지원 강화
o 수출금융을 상반기 조기집행(60%)하고 中企 지재권분쟁 역량 제고
- ‘환율변동에 취약한 수출중소기업 지원방안‘ 마련(4월)
o ‘서비스무역장벽 보고서’를 발간(9월)하고 해외관광객 행정편의 제공
o ‘무역투자진흥회의’를 개최(분기별)하여 수출 활성화방안 마련(4월)
3. (부동산시장 정상화) 공공부문 주택공급을 탄력 조정하고 규제완화, 취득세·양도세 등 세부담 완화와 실수요자 주택자금 지원 확대
* 규제정상화, 수급조절 등을 포함한 종합대책 조속 발표 (4월초)

고용 친화적 제도 개선
1. (일자리 중심 정책운영) 일자리 관점에서 주요 정책ㆍ사업 추진
o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중기 ‘일자리 로드맵’을 마련하고(5월) ‘국민일자리행복회의(가칭)’ 등을 통해 추진실적 수시 점검
o 고용영향평가 결과를 주요 재정사업의 예산편성ㆍ집행에 적극 활용하고 고용창출ㆍ비정규직 지원 등이 가능한 고용 친화적 세제 마련
2. (고용확충 기반 강화) 공공 일자리, 창직 지원 등을 통해 일자리를 확대하고 여성 근로여건 개선 등 고용친화적 제도개선 추진
o 공공부문 일자리, 공공기관 채용규모(1.5 →1.6만명)를 금년중 확대하고 지자체-대학-기업간 연계를 활용한 창직 확대 유도
o 임신ㆍ출산 친화적 제도 마련, 여성기업 지원제도 개편 등을 추진하고 근로시간 저축계좌제 등 장시간 근로 개선방안 마련(6월)
o 민관의 일자리 정보를 연계하는「일자리종합정보망」구축

창조경제 기반 마련
1. (창조경제 인프라 구축) 「창업-회수-재도전」의 선순환 환경 조성
o 창업ㆍ벤처 활성화를 위한 성장단계별 지원 방안 마련(6월)
ⅰ) (창업단계) 창업초기기업에 대한 투자확대 유도
- 민간의 모험적 투자를 유도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모태펀드, 정책금융 공사 등)이 보다 많은 투자위험을 부담하는「한국미래창조펀드」시범 조성
- 크라우드 펀딩 도입 등 창업초기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개선
ⅱ) (회수단계) 초기 투자자 중간회수 시장 활성화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M&A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을 확대하고 중소기업 전용 코넥스(KONEX) 시장을 신설
ⅲ) (재도전 단계) 연대보증 등 실패부담을 완화하고 재기 지원
- 제2금융권의 연대보증을 원칙적으로 폐지하는 등 연대보증 부담을 완화하고 재기 중소기업인에 대한 체납세액 납부 유예
2. (창조형 서비스산업 육성) 창조형 서비스업*에 대한 지원을 제조업 수준으로 강화하여 창의성 발현이 가능한 환경 조성
* SW, 영화, 게임, 관광, 컨설팅, 보건의료, MICE 등과 이들이 융ㆍ복합된 업종 등
o IT 활용, R&D 활성화 등을 통한 ‘서비스산업 발전방안’ 마련(5월)
o 창조형 서비스업의 핵심역량인 창의적 인력 확충을 위해 R&D 투자관련 세제*ㆍ예산** 지원을 대폭 확대
* R&D 비용에 대한 세액공제의 지원대상에 창조형 서비스업 추가 등
** R&D 예산 중 서비스 R&D 비중(%): (’13)0.5%(16.9조원 중 0.1조원) →(’14)1%수준
o 고용창출투자, 中企 투자세액공제, 中企 창업지원 등 업종별 조세특례제도에 창조형 서비스업을 추가
o 중소기업의 특허권 등 기술이전으로 발생한 매출에 대해 법인세 감면
o MICE 산업 등 국내에서 발생하는 창조형 서비스 수출에 대해서도 상품 수출과 동일한 금융*ㆍ세제지원 추진
* MICEㆍ관광 등 ‘국내에서 발생(외화가득)한 서비스수출’에 대해 수은의 수출금융 지원
※ 첨부 : 자료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