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ILi.com

[정부부처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제목 연구개발특구 중심으로 R&D 성과의 기술사업화 본격추진
기관명 지식경제부 작성일자 2012 . 01 . 17
첨부파일

「2012 연구개발특구 신년인사회」
「2012년 연구개발특구 신년인사회」가 ‘12.1.17(화) 11:30~13:00, 대전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2층)에서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 박병석, 이상민, 김창수 국회의원, 이재구 특구본부이사장, 출연연 및 기업대표 등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음
특히, 이번 행사에는 한국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고 있는 19개 주요 출연硏 원장들이 참석하여 연구개발과 사업화가 역동적으로 결합하는 연구개발특구를 완성하는데, 출연연구소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산학연 협력과 소통의 계기를 마련함
홍석우 장관은 신년 축사를 통해 “지난해 어려운 경제여건에도 무역 1조 달러를 달성한 것은 연구소, 기업, 대학에서 묵묵히 자기역할을 수행한 숨은 영웅들이 노력한 결과라고 치하”하였음
연구특구인들이 “보철제국의 신념으로 열악한 여건속에서 ‘포항제철’을 일구어 한국 산업발전의 토대를 만든 故 박태준 회장과 같은 원대한 비젼과 기업가정신을 발휘하여,
연구개발특구가 기술혁신과 비즈니스가 상생 협력하는 한국판 실리콘밸리 성공신화의 주인공이 되어 우리경제가 무역 2조불 경제대국으로 도약하는 디딤돌이 되어 줄 것을 당부“하였음
신년인사회에 참석한 출연연 원장, 기업 CEO들은 「새해덕담 릴레이」를 통해 ‘기술개발의 성과가 기업 매출증가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 정착을 위한 결의를 다졌음
지식경제부는 우리경제가 ‘Fast Follower’에서 'First Mover'로의 전환을 위해 연구개발특구를 거점으로 지식창출-기술확산-창업 생태계가 약동하는 혁신클러스터를 집중 육성하고 있음
지난해에는 혁신경제의 산업기반 확산을 위해 대덕특구(‘05.7)외에 광주, 대구특구를 추가지정(’11.1)하여 국가혁신역량을 강화하고
제2차(’11-‘15) 연구특구 육성종합계획’에 따라 시장과 성과 중심의 R&BD 과제지원, 민간 기술이전을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 첨단기술 중심의 연구소기업 창업(29개사) 등을 본격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 ’06’~11년간 총 142개 R&BD과제를 지원하여 ’10년까지 914억원의 매출이 발생하였고, ‘15년까지 약 3,600억원의 매출이 추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
* ’08~’11년간 출연연, 대학 등이 보유한 우수 기술 1,121건을 발굴하고, 이중 232건을 기업에게 이전하여 기술료 260억원 창출
앞으로 지식경제부는 연구개발특구가 우리나라 혁신경제의 발전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연구특구별 특화산업 육성, 기술금융 및 산업 인프라 확충,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임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현판식
홍석우 장관은 산ㆍ학ㆍ연ㆍ관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 현판식에 참석하여 관계자를 격려하였음
동센터는 지식경제부가 기술사업화 인프라 확충을 위해 ETRI 부지내 연면적 23,039m2 규모(지상 7층/지하 1층)로 건축한 것임
융복합 기술개발과 생산지원 설비의 집적화를 바탕으로 연구특구내 기술 사업화의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현판식이후 본격적으로 가동(현재 19개 업체 입주)하게 됨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에서 기술개발, 상품 기획 및 시제품 생산, 판로개척 등 전 과정을 일괄 지원(one-stop, one-roof)하여 중소(벤처)기업의 비용절감과 기술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홍장관은 “동 센터가 출연硏과 기업간 상생협력의 성공모델로 자리잡기를 기대한다”면서, “기술력을 바탕으로 산업성장과 고용을 창출하는 강소기업을 육성해줄 것을 당부”하였음
또한, 홍석우 장관은 기술사업화를 선도하고 있는 ETRI를 방문하여 그간의 사업성과를 점검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였음
ETRI는 산학연 공동 기술개발과 민간기술 이전, 생산지원을 통해 지난해 259억원(322건)의 기술료 수입이 발생하였고, 융복합 유망기술중심으로 연구소기업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음
* ‘06년부터 창업된 연구소기업(총 29개사)중 ETRI에서 자본금 20%이상을 출자하여 창업한 회사는 15개사임
특히, 그간 축적된 전자ㆍ통신분야의 기술역량을 바탕으로 기술간 융합을 통해 조선, 자동차 등 주력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있음
* IT+ 조선 : 원격 선박 유지ㆍ보수가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선박기술(Ship Area Network)로 선박수출에 기여 (77척, 120억달러)
* IT + 자동차 :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을 적용하여 세계 최초로 차량 전면유리에 정보표시 장치 탑재예정 (세계 투명디스플레이 예상 시장규모 : 14년 3.2억 달러 → 20년 91억 달러)
첨부 : 보도자료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