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부처 자료] 전체
제목 | 하반기, 실물부문 견조한 증가세 유지 전망 : 산자부, 업종별 경기전망 발표 | ||
---|---|---|---|
기관명 | 산자부 | 작성일자 | 2000 . 07 . 29 |
□ 반도체, 자동차 등 주요 제조업종의 하반기 경기는 상반기보다 둔화될 것이나, 하반기에도 견조한 증가추세를 유지할 전망임.
□ 산업자원부가 제조업 주력업종 9개, 1,20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상반기 생산증가를 선도한 반도체, 자동차, 기계 등 7개 업종은 하반기 전망을 연초 전망보다 상향 조정하였으며, 이들 업종이 하반기 경기를 이끌어 갈 것으로 조사됨.
o 다만, 섬유는 당초 전망보다 하반기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나타남.
〈하반기 산업생산 증가율(%)〔당초전망 → 수정]〉
* 호조 : 기계(5.6→17.6), 자동차(5.5→12.3), 조선(-7.7→3.2), 정보통신(-1.5→9.2)
* 보통 : 가전(4.7→7.8), 철강(3.6→5.1), 석유화학(3.1→5.3), 반도체(24.0→22.6)
* 부진 : 섬유(7.0→3.4)
〈상반기 산업생산 증가율(%)〔당초전망 → 수정〕〉
* 호조 : 기계(17.3→20.8), 자동차(9.4→13.6), 조선(-6.2→28.0), 정보통신(46.7→59.6), 반도체(12.6→31.7), 가전(7.7→28.7), 철강(4.0→17.9)
* 부진 : 섬유(11.2→5.6%), 석유화학(7.0→4.9)
□ 산업자원부는 현 시점에서 하반기에 경기의 급속한 하락을 속단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며,
o 하반기 경기의 불투명 요인을 해소하고 불안심리를 차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진단하였음.
o 특히, 금융 및 기업구조조정의 신속한 처리 및 수출경쟁력 강화, 이를 통한 주식시장 회복이 하반기 경기의 관건으로 전망함.
┌───────────────────┐ │ 업종별 실물경제동향 및 하반기 전망 │ └───────────────────┘ Ⅰ. 실물경제동향 및 전망
1. 상반기 동향
□ 경제성장률은 지난 해의 기술적 반등이 종료됨에 따라 금년 1/4분기부터 성장속도가 둔화되는 추세
o 작년 2/4분기 이후 두 자리수 성장을 지속하였고, 금년 2/4분기에는 9.5% 수준 전망
- 하반기에는 3/4분기 7.2%, 4/4분기 5.6%로 둔화될 전망(KDI) 1998년 1999.3/4 1999.4/4 2000.1/4 2/4 3/4 4/4 연간 ------ -------- --------- --------- --- --- --- ----- * GDP증가율추이(%) -6.7 12.8 13.0 12.8 9.5 7.2 5.6 8.6 □ 산업생산은 기술적 반등이 해소됨에 따라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으나, 아직은 견조한 증가 추세를 지속
o 산업생산은 금년 3∼4월에 17% 수준으로 떨어졌으나, 최근 20% 내외 수준을 보이고 있음.
- 제조업가동률도 80% 수준에서 등락
o 상반기 산업생산증가를 선도하고 있는 것은 반도체, 가전, 컴퓨터 등 전자정보, 자동차, 조선 등이며 기초소재 업종 및 경공업은 상대적으로 부진 〈상반기 산업생산 증가율(%)〔당초전망 → 수정〕〉 ┌───┬─────────────────────────────────┐ │ 호조 │기계(17.3→20.8), 자동차(9.4→13.6), 조선(-6.2→28.0), 정보통신 │ │ │(46.7→59.6), 반도체(12.6→31.7), 가전(7.7→28.7), 철강(4.0→17.9)│ ├───┼─────────────────────────────────┤ │ 부진 │섬유(11.2→5.6%), 석유화학(7.0→4.9) │ └───┴─────────────────────────────────┘ □ 설비투자는 금년 1/4분기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30∼40%대의 높은 증가세를 지속
□ 소비도 산업생산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은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
2. 하반기 전망 ┌─────────────────────────────────────┐ │◇ 하반기 경기는 불투명한 요인이 상존하지만 제조업 주력업종(9개) 조사결과 │ │ 견조한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 다만, 금융시장 불안해소, 수출경쟁력 강화 등이 하반기 경기의 관건으로 │ │ 작용하고 있음. │ └─────────────────────────────────────┘ □ 최근 각종 경제지표의 둔화추세는 경기의 급격한 상승추세가 더 이상 지속되지 않을 것임을 시사
o 수출환경 악화, 주가하락 등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둔화 추세를 반전시킬 뚜렷한 요인이 없는 상황임.
□ 일부에서는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하반기에 경기가 급속히 냉각될 것이라는 견해를 표명
o 미국경기의 조정, 고유가, 반도체 가격하락, 환율절상 등으로 인한 수출수요 감소 및 경쟁력 저하
o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한 투자마인드 위축 및 주식시장 침체
- 기업경기 실사지수가 점차 악화
* 600대기업의 7월 BSI가 91.4로 18개월만에 하락세 시현(전경련)
* 중소기업의 하반기 종합BSI도 95를 기록(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 현재 대표금리는 8∼9% 수준에서 안정세를 유지하나, 채권시장 기능저하와 주식시장 침체, 은행권의 보수적 자금대출로 기업자금시장 경색
* 전체 은행대출중 기업대출 비중 : (1999말) 68.4% → (2000. 6말) 65.9%
o 경기선행지수의 전년동월비가 작년 9∼10월부터 하락추세 지속
* 과거 경험으로 보면 하락시점부터 10∼12개월후 경기하락이 발생하나, 최근 IT산업 발전 등 산업구조변화를 고려할 때 속단키 어려움.
□ 그러나, 제조업 주력업종(9개)를 조사한 바에 의하면 하반기 경기는 견조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o 상반기 생산증가를 선도한 반도체, 자동차, 기계, 가전 등에 있어서 하반기 전망을 연초 전망보다 상향조정
o 다만, 상반기 부진한 섬유는 연초 전망보다 하향 조정
* 조사기간 : 6. 24∼7. 20
* 조사대상업체 : 9개업종 1,200여개 업체 〈하반기 산업생산 증가율(%)〔당초전망 → 수정〕〉 ┌───┬─────────────────────────────┐ │ 호조 │기계(5.6→17.6), 자동차(5.5→12.3), 조선(-7.7→3.2), │ │ │정보통신(-1.5→9.2) │ ├───┼─────────────────────────────┤ │ 보통 │가전(4.7→7.8), 철강(3.6→5.1), 석유화학(3.1→5.3), │ │ │반도체(24.0→22.6) │ ├───┼─────────────────────────────┤ │ 부진 │섬유(7.0→3.4) │ └───┴─────────────────────────────┘ □ 다만, 이러한 경기전망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됨.
o 금융·기업구조조정의 신속한 처리를 통한 금융시장 불안의 조기 해소
o 환율의 안정적인 운용, 노사관계의 안정 등 수출경쟁력 강화
- 철강, 조선의 경우 통상마찰의 사전방지 및 원만한 해결 ┌────────────────────────────────────┐ │◇ 현시점에서 하반기에 경기의 급속한 하락을 속단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며 │ │ o 산업자원부 조사결과, 하반기 실물경제는 견조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 │ 전망 │ │◇ 다만, 금융시장 불안 등으로 기업의 불안심리가 확산되고 있는 바, 정부가│ │ 이를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노력을 경주하는 것이 긴요 │ │ o 이를 위해서는 금융 및 기업구조조정의 신속한 처리 및 수출경쟁력 강화, │ │ 이를 통한 주식시장 회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 └────────────────────────────────────┘ Ⅱ. 주요 업종별 동향 및 하반기 전망
1. 개관 ┌─────────────────────────────────────┐ │◇ 상반기에 산업생산증가를 선도한 업종은 반도체, 가전, 기계, 자동차, 조선 │ │ 등이며, 이들 업종은 상반기의 실적이 당초 예측했던 전망치보다 증가한 │ │ 것으로 나타남. │ │ - 반면, 섬유와 석유화학은 당초 전망치를 하회 │ │◇ 하반기에는 모든 업종(석유화학 제외)이 상반기에 비해 생산, 내수, 수출 │ │ 등의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 │ - 그러나, 연초의 하반기 전망치들이 섬유, 석유화학, 반도체를 제외하고는 │ │ 금번 조사시 대부분 상향조정되고, 하락업종의 증가율 둔화폭도 크지 않음. │ │ ⇒ 하반기 실물부문의 급격한 경기하락 조짐은 발견되지 않음. │ └─────────────────────────────────────┘ o 상반기 경기회복, 해외수요 증가로 내수 및 수출이 크게 증가했던 [일반기계]는
- 하반기에는 생산 증가율이 다소 둔화되나 내수 및 수출이 견조하게 증가
- 수입은 설비투자 증가로 38.3%의 높은 증가세 시현 전망
o 경기회복과 신모델 출시 등으로 내수와 수출이 모두 호조를 보이는 가운데 생산이 크게 증가한 [자동차]는
- 하반기에는 내수가 감소하지만 견조한 생산 증가율을 유지할 전망
- 다만, 자동차 수입은 높은 증가율을 지속할 전망
o 생산성 향상과 환율상승으로 수주가 활발했던 [조선]은
- 하반기에도 호조세가 지속될 전망
o 자동차, 조선 등 수요산업 성장, 수출증대 등으로 생산이 크게 증가했던 [철강]은
- 하반기에는 성장률 둔화, 건설경기 회복지연에 따른 내수증가가 둔화
- 철강수입규제에 따라 수출은 미미하게 증가할 전망
o 상반기 [석유화학]은 원료인 납사가격의 50% 이상 상승으로 수익성이 개선되지 않고 생산 및 수출이 부진하였고,
- 하반기에도 생산, 내수, 수출 등에서 타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폭 증가세를 유지할 전망
o 상반기 의류를 중심으로 내수가 꾸준히 증가했으나, 단가인상이 이루어지지 않아 수출채산성 회복효과는 미미하였던 [섬유]는
- 하반기에도 사회 전체적인 경기둔화 추세와 비수기로 인한 수출감소로 생산증가율이 둔화될 전망
o 경기회복, 수율향상, 해외수요 증대 등의 요인으로 상반기 [반도체]의 생산 및 수출은 30% 내외 크게 증가하였고,
- 하반기에도 DRAM 가격상승 또는 안정으로 22.6% 생산 증가 전망
o [가전]은 상반기에 MP3 플레이어, DVD플레이어 등 일부 디지털품목이 이미 주요 수출품목으로 부상한 가운데,
- 하반기에도 수출호조가 지속될 전망
o 상반기에 59.6% 생산이 증가된 [정보통신]은
- 하반기에는 휴대폰 보조금제도 폐지 등으로 내수가 둔화되면서 9.2% 성장 전망
2. 주요 업종별 동향 및 전망
(1) 일반기계
□ 상반기 동향
o 생산은 경기회복으로 인한 설비투자 증가에 따라 완성품 기계류 중심으로 전년동기대비 20.8% 증가
o 내수는 자동차 및 정보통신기기 등 관련 수요산업의 경기회복 및 설비투자 회복으로 36.9% 증가
o 수출은 일본, 중국,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32.3% 증가(풍수력기계, 냉동공조기계류, 고무플라스틱가공기계 등)
o 수입은 설비투자의 급격한 증가로 미, 일, 독 등의 선진국시장을 중심으로 54.3% 크게 증가(금속공작기계류, 동력전달장치 등)
□ 하반기 전망
o 하반기 설비투자 증가가 예상되지만, 생산증가율은 다소 둔화된 17.6% 전망
o 내수는 금융구조조정에 따른 자금경색에 따라 소비심리가 위축되어 상반기 증가율보다 다소 낮아진 29.4% 전망
o 수출은 미국시장의 경기연착륙에 좌우될 전망이나, 일본, 중국 등으로부터의 수요가 지속된다면 27.1% 증가 전망
o 수입은 내수시장 위축에도 불구하고 설비투자 증대로 인한 완제품 및 핵심 원부자재 수입증가로 38.3% 증가 전망
(2) 자동차
□ 상반기 동향
o 상반기에는 국내경기 회복과 다양한 신모델 출시 등으로 내수와 수출이 모두 호조를 보인 가운데 생산은 13.6% 증가
- 수출은 미·EU 등으로 확대되면서 전년대비 16.1% 증가하였고, 내수도 30.5% 증가
- 수입선다변화제도 폐지(1999. 6월말), 수입차모터쇼 개최(2000. 5월) 이후 외제차 수입도 전년대비 150.0% 증가
□ 하반기 전망
o 하반기 자동차업계는 인수 및 전략적 제휴 등 구조개편작업이 지속되는 가운데, 경제성장율 둔화와 고유가, 정부의 LPG 가격 인상계획 등으로 내수증가율이 1.8%로 크게 하락할 전망
- 다만, 수출은 선진국 수요정체와 개도국의 경기회복 지연으로 큰 폭의 증가는 어려우나, 신모델 투입, 재고조절 등 업체들의 다양한 수출확대 노력을 통해 16.9% 증가 전망
(3) 조선
□ 상반기 동향
o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과 대일 경쟁력 우위 지속으로 조선수주는 전년대비 큰 폭의 증가세
- 2000. 1/4분기 수주 Share는 1999년에 이어 일본을 제치고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건조 및 수주잔량 Share도 1위 기록
o 상반기 수출은 3,180백만불로 전년 같은 기간의 2,956백만불보다 32.5% 증가
□ 하반기 전망
o 조선은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과 대일 경쟁력 우위 지속으로 하반기에도 지속적인 생산 및 수출증가가 이어질 전망
o 연간으로는 생산이 전년대비 16.0% 증가한 약 1,100만GT 내외로 추정, 수출은 7.1% 증가한 약 71억$로 전망
(4) 철강
□ 상반기 동향
o 상반기에는 자동차, 조선 등 수요산업 호조로 철강생산이 전년대비 17.9% 증가하는 등 성장세 유지
- 내수는 관련제조업 호조와 일부 건설분야의 경기회복 등에 따라 24.0% 증가
- 수출은 미국, 유럽 등의 수입규제 강화추세에 불구하고, 적극적 시장공략 추진에 따라 8.3% 증가
□ 하반기 전망
o 생산은 하반기중 5.1%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건설경기 회복지연에 따른 조강생산 둔화로 상반기 대비 0.8% 미증 전망
o 내수도 하반기 경제성장률 둔화, 건설경기 회복지연으로 전년동기비 7.3%, 연간 15.0% 증가 전망
o 수입은 자동차, 조선경기의 호조로 봉강, 중후판, 핫코일의 수입증대에 따라 하반기중 11.0%, 연간으로는 27.2% 증가 전망
o 수출은 지속적인 수입규제와 국내 철강수요의 증가로 상반기 대비 3.3% 감소한 0.2% 증가 전망
- 현재 11개국, 25건의 반덤핑관세 제소 진행중
(5) 석유화학
□ 상반기 동향
o 석유화학은 당초 2월의 생산, 수입, 내수, 수출 전망치보다 실적치(추정)가 모두 감소
* 증가율변화(%) : (생산) 7.0 → 4.9/(내수) 8.8 → 0.6/(수출) 5.1 → 3.7/(수입) 10.5 → -37.8
o 특히, 수출은 중국시장의 수요부진과 6월 마늘분쟁 등의 영향으로 3.7% 소폭 증가 기록
□ 하반기 전망
o 하반기에는 내수(전년대비 0.4% 증가)보다 수출(4.1% 증가)을 중심으로 생산이 확대되어 5.3% 증가 전망
- 초대형·고압 파이프용 신소재 개발, 국내외 공장증설, 외국기업과의 합작 등으로 생산확대 예상
(6) 섬유
□ 상반기 동향
o 생산은 직물, 봉제 등 전 품목에서의 수출 활기와 경기호조에 따른 내수호조에 힘입어 전년동기대비 다소 상승한 5.6% 증가
o 수출은 물량증가에 비해 단가인상이 미미해 업체 체산성 확보에 미흡하였고, 중국, 인도네시아 등 후발국의 저가물량공세로 경쟁력 감소
□ 하반기 전망
o 하반기에는 사회 전반적인 경기 둔화와 비수기로 인한 수출증가율 감소로 인해 생산이나 가동율이 다소 감소할 전망
- 수출도 전 품목에서 증가가 예상되나, 증가폭은 감소 전망
(7) 반도체
□ 상반기 동향
o 생산은 경기회복에 따른 지속적인 수요증가 및 수율 향상에 따라 전년대비 31.7% 증가
o 수출은 조립분야를 포함하여 1999년 대비 29.6% 증가한 117억불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o 수입은 PC, 휴대폰 등 정보통신기기의 내수 및 수출증가로 비메모리 IC를 중심으로 1999년 대비 24.8% 증가한 95억불 전망
□ 하반기 전망
o 하반기에도 반도체는 세계적인 수요증가와 DRAM 가격 상승세에 힘입어 생산 및 수출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수출은 사상최대치 기록할 전망
- 다만, 수요증가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의 신규투자 억제로 D램 업체가 단기간에 생산을 확대하기는 곤란한 상황
※ 세계 동향
o 각종 시장조사기관에 의하면, 2000년 D램 수급은 전체적으로 초과수요 현상이 전망되며, 현재 약 3-5%의 공급 부족현상 추정 〈2000년 DRAM 공급과잉률 예측〉 ┌───────┬───────┬─────┬─────┬─────┐ │ │ 2000.1/4분기 │ 2/4분기 │ 3/4분기 │ 4/4분기 │ ├───────┼───────┼─────┼─────┼─────┤ │IDC(2000. 4월)│ 1.8% │ 4.3% │ -0.7% │ -7.9% │ │DQ(2000. 5월) │ 7.2% │ 5.4% │ -1.8% │ -6.9% │ └───────┴───────┴─────┴─────┴─────┘ - 현재 국내업계의 D램 재고수준은 평균 1-2주로서 제품공급이 다소 타이트한 상황(보통 3-4주의 재고물량이 적정)
o 최근 PC 및 무선통신분야에서의 수요증가와 제한된 공급으로 인하여 2/4분기 중반부터 DRAM 가격이 상승세.
- 64M(8M×8 현물기준) : 9∼11불 전망(7. 5 현재 8.88불/개)
- 128M(16M×8 현물기준) : 16∼19불 전망(7. 5 현재 18.05불/개)
(8) 가전
□ 2000년 상반기 동향
o 올 들어 가전업체들이 주력으로 내놓고 있는 디지털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수요 증가
- MP3 플레이어와 DVD플레이어 등 일부 디지털품목은 이미 주요 수출품목으로 부상
* 제품예 : 디지털TV, 디지털VCR, DVD플에이어, 디지털캠코더, 디지털AV리시버, MP3플에이어, 디지털냉장고
□ 하반기 전망
o 완전평면 TV, 에어컨, 양문여닫이 냉장고 등 기존 가전제품들의 내수 및 수출호조에 힘입어 디지털가전에 투자할 여력을 제공하고 있어 하반기에도 가전제품의 디지털화는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
o 디지털가전은 아직 수요는 성숙되지 않았지만 고부가가치 및 높은 시장 잠재력으로 많은 투자가 필요한 부문임.
(9) 정보통신
□ 상반기 동향
o 정보통신은 1999년에 이어 2000년에도 인터넷 열풍과 휴대전화 보급 확산으로 호황 지속
- 한국은 국제도메인(.com, .net) 등록건수가 1998년 세계 29위, 1999년 6위에서 2000년 상반기 2위로 부상
- 휴대전화 가입자수도 2000. 5월 현재 2,700만명으로 유선가입자를 추월
o 2000년 상반기 정보통신수출은 컴퓨터 주변기기, 무선단말기기의 호조에 힘입어 전년동기대비 89.5% 증가
□ 하반기 전망
o 상반기 급격한 호조세를 보였던 정보통신산업은 하반기에는 생산 및 수출 급증세가 다소 둔화되면서 안정적 성장국면으로 전환
- 인터넷 보급확산, 설비투자 확대 등 긍정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무선단말기 보조금제도 폐지, 컴퓨터 보급 한계 등으로 상반기와 같은 고성장을 지속하기에는 무리
- 무선단말기 보조금이 폐지된 6월 이후 휴대폰 가입자수가 급격히 감소(6월 가입자수는 전월대비 70만명 이상 감소)
o 1999년 하반기가 대호황이었기 때문에 2000년 하반기의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