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ILi.com

[정부부처 자료] 전체

제목 S&P 한국 국가신용등급 상향조정
기관명 재경부 작성일자 2001 . 11 . 16


  ┌────────────────────────────────────┐
  │□ 국제신용평가사인 S&P는 2001/11/13(화) 15:00(한국시간) 우리나라 국가 │
  │   신용등급을 한단계 상향 조정한다고 발표                               │
  │ o 우리나라의 장기 및 단기 외화채권 신용등급을 종전 BBB 및 A-3에서 BBB+│
  │    및 A-2로 각각 한단계씩 상향 조정하고,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Stable)│
  │    으로 평가                                                           │
  │  ┌───────┬────────────┬───────────┐  │
  │  │              │    종전(1999. 11/11)   │   조정(2001. 11/13)  │  │
  │  ├───────┼────────────┼───────────┤  │
  │  │장기 외화채권 │           BBB          │         BBB+         │  │
  │  ├───────┼────────────┼───────────┤  │
  │  │단기 외화채권 │           A-3          │          A-2         │  │
  │  ├───────┼────────────┼───────────┤  │
  │  │장기 원화채권 │            A           │           A+         │  │
  │  ├───────┼────────────┼───────────┤  │
  │  │단기 원화채권 │           A-1          │          A-1         │  │
  │  ├───────┼────────────┼───────────┤  │
  │  │중 장 기 전망 │         Positive       │         Stable       │  │
  │  └───────┴────────────┴───────────┘  │
  │                                                                        │
  │ □ 그간 세계적인 경기후퇴로 우리나라와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시아국 │
  │    신용등급이 하향됨에 따라 주요 투자기관들은 우리나라 신용등급도 하향 │
  │    조정될 것이라고 예측하였으나,                                       │
  │ o 최근들어 우리나라의 지속적인 구조조정 추진과 건실한 거시경제정책을  │
  │    높이 평가하여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                                  │
  │ o 특히, 정부는 11/9 국제금융국장 등 대표를 싱가폴 소재 S&P 아시아본부│
  │    에 파견하여 John Chambers 상무, Ogawa 이사 등 주요 S&P 평가위원들에│
  │    게                                                                  │
  │ - 한국의 경제 현황 및 전망, 구조조정 추진성과, 9/11 테러사태 이후의 정 │
  │   부조치 등을 상세히 설명하여 우리경제가 다른 신흥시장국과 차별화되어야│
  │   된다는 점을 적극 설득                                                │
  │                                                                        │
  │□ S&P측은 우리나라 신용등급 상향조정의 주요 이유로 구조조정의 지속적  │
  │   추진과 이에 따른 가시적인 성과를 들었음.                             │
  │ o 부실기업 및 부실자산 정리를 촉진할 수 있는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의 시행│
  │ o 자산관리공사의 3.8조원 상당의 자산 유동화                           │
  │ o 담배인삼공사의 민영화                                               │
  │ o 대우자동차 및 현대투신의 매각 추진 등                               │
  │                                                                        │
  │□ 이와함께 S&P측은 대외부분의 강화, 다원화된 경제, 재정의 건전성 등을 │
  │   한국경제의 강점으로 평가                                             │
  │ o 1000억불 이상의 외환보유고, 신축적인 변동환율제도 운용, 순대외채권국│
  │    으로의 정착 등 긍정적인 요소를 고려할 때, 대외부문 충격을 충분히 흡 │
  │    수할 수 있다고 평가                                                 │
  │ o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수출선의 다변화 추구, 높은 1인당 GDP수준 등 │
  │    을 감안할 때, 세계경제의 하강국면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경기 침체를 피│
  │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 o 또한, 여타 신흥시장국가와 달리 탄력적인 재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점 │
  │    도 강점으로 제시                                                    │
  │                                                                        │
  │□ 또한, 김대중 대통령의 여당 총재직 사임과 관련하여 S&P는 경제운영에  │
  │   전념하겠다는 대통령의 의지를 고려할 때, 현정부는 1997년 대선 직전과  │
  │   같은 정책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을 것으로 평가                          │
  │                                                                        │
  │□ 한편, S&P는 기업 및 금융 구조조정 완결, 잠재적 통일비용 등을 한국경 │
  │   제의 과제로 지적                                                     │
  │                                                                        │
  │□ 신용등급 상승으로 우리나라의 대외신인도가 제고되고 기업들의 차입비용 │
  │   절감 및 한국에 대한 투자심리가 높아져 FDI 및 포트폴리오 자금의 추가  │
  │   유입이 예상                                                          │
  │ * 우리나라의 경우 신용등급 1등급 상승시 차입금리가 35bp정도 하락하여 매│
  │   년 5억불 이상의 차입비용 절감이 기대                                 │
  │ ※ Moody's의 경우 금년 3월에 한국 신용등급을 현행 유지키로 잠정 결정하 │
  │    였으며 내년 초 연례 보고서를 발간할 계획인 바, 금번 S&P의 신용등급 │
  │    상향조정으로 Moody's의 평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    │
  └────────────────────────────────────┘

〈국가신용등급 동향〉

가. 우리나라 신용등급 현황
□ S&P : 1999. 1. 25 투자적격(BBB-) 부여후, 2001. 11. 13 BBB+로 신용등급 상향조정 및 Stable 전망(outlook) 부여

      ┌───┬──────┬─────┬─────┬─────┐
      │ 종전 │1997. 10. 24│  11. 25  │  12. 11  │  12. 23  │
      ├───┼──────┼─────┼─────┼─────┤
      │  AA- │      A+    │    A-    │   BBB-   │     B+   │
      │      │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
      └───┴──────┴─────┴─────┴─────┘
      ┌──────┬──────┬──────┬───────┐
      │1998. 2. 17 │1999. 1. 25 │1999. 11. 11│ 2001. 11. 13 │
      ├──────┼──────┼──────┼───────┤
      │     BB+    │    BBB-    │     BBB    │     BBB+     │
      │  (3단계↑) │  (1단계↑) │  (1단계↑) │  (1단계↑)   │
      └──────┴──────┴──────┴───────┘

□ Moody's : 1999. 8. 22 긍정적 신용관찰 (Review for Possible Upgrade)지정후 1999. 12. 16 등급상향조정(Baa2) 및 Stable 전망 부여

  ┌───┬──────┬─────┬─────┬──────┬──────┐
  │ 종전 │1997. 11. 18│  12. 11  │  12. 21  │1999. 2. 12 │1999. 12. 16│
  ├───┼──────┼─────┼─────┼──────┼──────┤
  │  A1  │      A3    │   Baa2   │    Ba1   │    Baa3    │    Baa2    │
  │      │  (2단계↓) │(2단계↓) │(2단계↓) │  (1단계↑) │  (1단계↑) │
  └───┴──────┴─────┴─────┴──────┴──────┘

□ Fitch IBCA : 1999. 4. 26 긍정적 신용관찰 (Positive Rating Alert) 대상 지정후 1999. 6. 24 BBB로 상향조정에 이어 2000. 3. 30 BBB+로 재조정

      ┌───┬──────┬─────┬─────┬─────┐
      │ 종전 │1997. 11. 28│  11. 26  │  12. 11  │  12. 23  │
      ├───┼──────┼─────┼─────┼─────┤
      │ AA-  │     A+     │     A    │   BBB-   │    B-    │
      │      │ (1단계↓)  │(1단계↓) │(4단계↓) │(6단계↓) │
      └───┴──────┴─────┴─────┴─────┘
       ┌──────┬──────┬──────┬──────┐
       │ 1998. 2. 2 │1999. 1. 19 │    6. 24   │2000. 3. 30 │
       ├──────┼──────┼──────┼──────┤
       │     BB+    │    BBB-    │     BBB    │    BBB+    │
       │ (5단계↑)  │ (1단계↑)  │ (1단계↑)  │ (1단계↑)  │
       └──────┴──────┴──────┴──────┘

나. 아시아 주요국의 신용등급 현황(S&P기준)

  ┌──────┬────────┬─────────────────┐
  │   국  가   │  현행신용등급  │        2001년 조정내용           │
  ├──────┼────────┼─────────────────┤
  │    한국    │BBB+, Stable    │등급상승(11/13)                   │
  ├──────┼────────┼─────────────────┤
  │    일본    │AA+, Negative   │등급하향(2/22), 전망하향(9/11)    │
  ├──────┼────────┼─────────────────┤
  │    중국    │BBB, Stable     │현행유지(10/9)                    │
  ├──────┼────────┼─────────────────┤
  │    대만    │AA, Negative    │등급하향(7/26)                    │
  ├──────┼────────┼─────────────────┤
  │ 말레이지아 │BBB, Stable     │전망하향(4/4)                     │
  ├──────┼────────┼─────────────────┤
  │    태국    │BBB-, Stable    │조정 미실시                       │
  ├──────┼────────┼─────────────────┤
  │   싱가폴   │AAA, Stable     │조정 미실시                       │
  ├──────┼────────┼─────────────────┤
  │    인도    │BB, Negative    │전망하향(8/7)                     │
  ├──────┼────────┼─────────────────┤
  │ 인도네시아 │CCC, Negative   │등급하향(5/21, 11/2)              │
  ├──────┼────────┼─────────────────┤
  │    터키    │B-, Negative    │등급하향(2/23, 4/16)              │
  ├──────┼────────┼─────────────────┤
  │    홍콩    │A+, Stable      │등급상승(2/8)                     │
  ├──────┼────────┼─────────────────┤
  │   필리핀   │BBB+, Negative  │조정 미실시                       │
  ├──────┼────────┼─────────────────┤
  │  파키스탄  │B-, Stable      │조정 미실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