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논문제목 | 한국증시의 수익률 동조화 현상 분석 | ||
---|---|---|---|
Analysis of Stock Return Synchronization on the KOSPI and KOSDAQ Market |
저자 | 김진수 ( Jin Su Kim ) | 제공기관 | 한국학술정보㈜ KISS |
학회명 | 한국재무관리학회 | 저널명 | 재무관리연구 |
발행년도 | 2023.08 | 페이지 | 131-159 (29 pages)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증시에서 수익률 동조화 현상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러한 동조화가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해 보았다. 증시 투자자들은 높은 대가를 지불하고 확보한 정보를 토대로 투자할 종목을 공들여 분석 후 투자 의사결정을 행한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개별종목 투자시 충분한 신념을 토대로 타인의 매매에 영향을 받지 않는 독단적 투자행위를 행할 개연성이 높다. 하지만 시장충격 수준의 시장 수익률 급등락이 발생하는 경우 투자자들은 개별종목에 대한 독단적 투자의사 결정 보다는 다수 투자자들의 매매양태를 추종할 개연성이 높다. 이로 인해 시황 급변일을 중심으로 개별종목 수익률이 시장전체 수익률과 동조화되는 무리행동(herding behavior) 양태가 관찰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Chang et al.(2000)의 개별종목과 시장전체 수익률 편차(cross-sectional absolute deviation of returns)를 측정하는 방법론을 토대로 시장 급등락 영업일 중심으로 무리행동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검증 결과, 국내증시는 시장급락일 중심으로 유의한 수준의 수익률 동조화 양태가 관찰되었다. 이어서 수익률 동조화가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함에 있어 본 연구가 주목한 것은 Barber and Odean(2008)의 가설이다.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과 그로 인한 정보의 유통이 다수 투자자들의 민첩한 매매행위로 이어져 무리행동을 야기할 수 있다는 Barber and Odean(2008)의 가설이 국내증시 수익률 동조화의 원인인지 살폈다. 분석 결과, 투자자들의 관심수준이 높을수록 수익률 동조화 성향은 더욱 뚜렷해졌고, 이러한 성향은 시장지수가 급락하는 영업일에 더욱 심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국내증시 시장 급락일 중심으로 다수 종목들의 수익률이 동조화되는 군집패턴은 투자자 관심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
키워드 | 수익률 동조화, 무리행동, 시장급변, 추종매매, 시장 동조화, Herding Behavior, Stock Return Synchronization, a Sudden Change in the Market, a Follow-up Trading Pattern, Market Synchronizatio |
||
권호 내 다른 논문 (7) |
|
||
논문서비스 안내 | - '논문'은 세무ㆍ회계ㆍ경영 관련 학회의 논문을 원문방식(PDF)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입니다. - 삼일아이닷컴 정회원은 논문을 열람 및 저장할 수 있습니다. |
||
저작권 안내 | 해당 학술논문은 당사가 ㈜누리미디어, 한국학술정보㈜, 교보스콜라 각 당사자간 계약을 통하여 전송권을 허가받아, 삼일아이닷컴을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해당 논문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삼일피더블유씨솔루션㈜는 각 저작물의 내용을 보증하거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논문 서비스의 저작권 및 전송권 관련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논문별 제공기관을 확인하신후 ㈜누리미디어(02-707-0496) 또는 한국학술정보㈜(031-940-1055) 또는 교보스콜라(02-3156-3834)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을 사전 허락 없이 임의로 대량 수집하거나 프로그램에 의한 주기적 수집 이용, 무단 전재, 배포하는 것을 금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저작권법 및 관련법령에 따라 민ㆍ형사상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