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지원센터
인사노무
판례예규해석
번호
제목
등록년월
3940[임금] [행정해석] 휴업수당 미지급 시 근로기준법 제37조 적용 여부 (근로기준정책과-1748, 2020. 04. 28. 회시)2024-12-16
3939[임금] [행정해석] 퇴직근로자에 대한 DC형 부담금의 지연이자 관련 (퇴직연금복지과-114, 2021. 01. 07. 회시)2024-12-16
3938[기타] [대상 행정해석] 근로시간면제자에게 출장비를 지급한 것이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는지 (노사관계법제과-1975, 2012. 07. 02. 회시)2024-12-11
3937[기타] [행정해석] 근로계약기간 중에 비로소 만 55세가 된 근로자의 경우, 계속근로한 기간이 2년을 초과하는 시점에서는 고령자에 해당된다 하더라도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라고 볼 수 없다 (고용차별개선과-1482, 2013.07.25.)2024-12-11
3936[휴일휴가] [행정해석] 주휴일간의 간격이 반드시 7일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근로기준과-2916, 2005.05.30)2024-12-11
3935[기타] [판례해석] 정년 도달에 따라 근로관계가 당연종료되었는지 여부는 당연종료 여부가 다투어지는 시점에 유효한 정년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대법 2024두41038, 2024.11.20. 선고)2024-12-11
3934[휴일휴가] [판례해석] 파업과 마찬가지로 태업(怠業)에도 무노동 무임금 원칙이 적용되고, 근로자는 태업기간에 상응하는 유급휴일에 대한 임금의 지급을 구할 수 없다 (대법원 2013. 11. 28. 선고 2011다39946)2024-12-11
3933[임금] [판례해석] 간호조무사 실습생의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해당 여부 (2024. 10. 25. 선고, 대법원 2023두46074)2024-12-09
3932[기타] [행정해석] 근로자대표 선임 시 서면합의 권한의 포괄적 부여가 가능한지 여부 (근로기준정책과-4230, 2021. 12. 14 회시)2024-12-09
3931[휴일휴가] [행정해석] 퇴사 직전 연차휴가를 몰아서 사용할 경우 시기변경권 행사 여부 (근기 68207-94, 1995. 01. 16 회시)2024-12-02